-
서양 미술사에서 르네상스 용어 및 단계 설명
르네상스라는 용어는 '재탄생'을 의미하며 주로 14세기 이탈리아에서 시작한 신규 문화 양식과 가치의 발생을 가리킵니다. 결국, 전 유럽으로 퍼져 나가면서 하나의 유행이 되었습니다. 조르조 바사리는 '미술가 열전' 이라는 책에서 르네상스를 세 단계로 나누는데 첫번째 단계는 1250년 경부터 시작하며, 조토와 그의 동시대에 산 지식인들이 자연을 추구하는 선호를 이끌었다고 설명합니다. 이러한 토대를 기반으로 한 15세기 예술가들은 해부학과 원근법의 분야에도 관심을 가지면서, 이 분야에서 큰 발전을 선보였습니다. 전성기 르네상스는 세번째 단계를 의미하는데, 라파엘로 산치오,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 보오나로티 이렇게 3인의 예술 작품이 이전의 고전 작품을 능가했다고 평가합니다. 이 평가는 일부 역사가들에 대해 철회될 때도 있지만 (르네상스가 최고가 아니고, 그 이전 시대에도 긍정적인 특징을 많이 가진 이방인 민족들의 다양한 문화가 있었다고 주장), 지속적으로 발견되는 고대 문서와 고전 조각상들을 르네상스 시대의 작품들과 비교했을 때, 명백한 차이를 느끼게 합니다.
각 도시국가별 발달 양식
이탈리아는 당시 통일된 국가가 아니라 독립 도시국가들의 집합체였는데, 이들은 서로 선호하는 양식을 각각 발전시키고,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 다른 양식들과 함께 움직이는 전체의 움직임을 보다 쉽게 만들었습니다.
중세 말, 고딕과 비잔틴 예술을 조합한 시에나 학파가 대두했습니다. 당시 베네치아는 초기 회화 양식이 비잔틴의 분위기를 띠고 있었는데, 14세기 부유한 해상 강국이 되면서, 예술의 방향이 바뀌게 되었고, 베네치아 학파 예술가는 휼륭한 색채가로 평가받았습니다. 이에 반해, 피렌체 학파는 주로 '선' 에 강조를 뒀고 르네상스의 핵심적인 발전들을 개척했습니다. 원근법의 주요 원리 역시 피렌체 학파에서 연구된 것입니다.
후원 가문과 인본주의 사상, 원근법 그리고 자연주의
피렌체의 부흥 뒤에는 메디치 가문의 원조가 있었는데, 예술에 대해서는 너그러운 후원자였던 메디치 가문은 르네상스 시대의 위대한 회화 대다수를 주문했었습니다. 메디치 가문에서 특히 유명했던 사람은 '위대한 로렌초' 입니다.
이 시대에는 메디치 가문만이 유일한 후원자는 아니었으며, 여러 가문들이 후원을 자처했고, 모두 호화로운 제후 궁궐을 소유했습니다. 그들은 그들의 교양, 학식, 고상함에 대한 이해를 반영하는 작품으로 주변을 꾸미고자 했고, 이들의 후원이 종교 예술의 지배를 약화시킵니다. 이들은 예술 세계의 중심에 신 대신 인간을 두었고, 이것이 르네상스의 인본주의 사상과도 일치합니다. 원근법의 발명은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해당 이물을 훨씬 더 입체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한 기술로, 앞서 이야기 한 인본주의 사상을 반영한 것이라 하겠습니다.
또한, 자연주의를 향한 흐름은 정확한 인간의 비율에 관심을 갖게 하였고, 인체 해부학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면서 상세한 노트와 수백 개의 해부학적 그림을 남겼습니다. 이는 인물들을 인위적으로 길게 늘이거나 양식화 한 중세와 비잔틴 회화 시기와는 다른 것으로 당시에는 해부가 비밀리에 이루어져야 했기 때문에 인체 해부학 연구가 어려웠습니다.
르네상스와 인쇄술
르네상스의 교훈은 그 당시 위대한 발명인 '인쇄술' 에 의해 멀리 전파되었습니다. 마르칸토니오 라이몬디는 이 시기, 가장 많은 작품을 생산한 사람 중 한명으로, 라파엘로 작품을 대중화시킨 것으로 유명합니다.
또, 이 시대의 다른 주요한 기법은 유화인데, 반에이크는 유화의 능력을 활용하여 매우 자세한 세부 사항, 밝은 색채, 다양한 색조를 표현하는 자연주의적 효과를 성취하였습니다.
북유럽 르네상스 특징
북유럽 르네상스는 이탈리아의 새로운 사상을 일부 흡수한 북유럽의 예술가들을 말합니다. 다만, 북유럽의 경우 종교개혁을 배경으로 르네상스가 흡수되었기 때문에 매우 다른 성격을 지닙니다.
바로크의 특징 및 선호
동적 운동, 정신적인 강렬한 감정, 연극조의 분위기 이렇게 3가지는 바로크의 특징입니다. 바로크는 일부 북부지역을 포함하여 번창하였고, 프랑스의 경우, 루이 14세의 관심을 끌어서 베르사유 궁전에 이와 같은 극적이고 거창한 양식을 적용합니다. 그는 이런 양식이 선전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합니다.
'서양미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